울산시는 어제(20일) 오후 3시 울산시청에서 ‘원전사고 대응 울산시민 대피 시뮬레이션 구축’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사업은 민선 7기 공약사업으로 국내 최초로 원전사고 발생 시 시민의 신속한 대피를 위한 종합적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마련됐습니다.
시는 지난 2015년 방사선비상계획 구역 확대 이후 방사능 누출사고에 대비해 현장 조치 행동 매뉴얼 수립, 방사능 방재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지역별 지형과 기상, 교통상황 등의 제반 조건을 반영한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이번 용역에 착수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주민 보호 조치를 위한 기술지원 시스템과 국가교통정보센터의 실시간 교통현황 정보 에이피아이(API) 연계 ▲울산시 방사능 방재 관련 데이터 구축 ▲풍하 방향을 고려한 거점 기반의 교통 시뮬레이션 분석 등입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그동안 보고회에서 제안된 추가사항 등을 반영해 주대피로와 우회 경로 산정, 개통 예정도로(2030년까지)를 고려해 분석한 ‘주민 소개 시간’ 등이 제시됐습니다.
울산시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방사능재난 시 주민 소개를 포함한 주민 보호조치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으로 방사능 방재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울산시 관계자는 방사능 재난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지속적인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실효성 있는 주민 보호 조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채널e뉴스 안정은입니다.
취재기자 : 안정은
영상편집 : 김다정
제보안내 : ✉ news@channelenews.com
저작권자 © 채널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