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가 1960년대 우리나라 농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국내 비닐하우스 농법 발원지로서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시설원예 첨단화에 나섭니다. 시는 올해부터 오는 2023년까지 39억 원을 투입해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시설원예 스마트팜을 10㏊(30여 농가) 추가 육성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는 11㏊, 20개 농가에서 스마트 시스템을 활용해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가지, 장미, 국화 등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시는 앞으로 3년간 스마트팜 규모를 지금의 배로 늘릴 계획입니다.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를 설치해 농가 데이터를 축적하고 작목별로 최적화된 모델을 현장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지난 2012년부터 스마트팜을 도입한 관내 한 토마토 재배 농업인의 경우 생육단계별 최적화된 관리로 5000㎡서 완숙 토마토를 키워 연간 3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한 번 심어 스마트팜을 통한 10개월에 걸친 효율적인 관리로 3.3㎡(평)당 수확량도 110kg 이상이고 품질 또한 뛰어나 시장에서 최고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김상진 김해시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농업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기후 변화로 인한 재배 불확실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며, 시설원예뿐만 아니라 과수, 노지까지 확대,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e뉴스 안정은입니다.
취재기자 : 안정은
영상편집 : 변정호
저작권자 © 채널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