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진주시청 상황실에서 진주시투자유치위원회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진주시]](/news/photo/202202/3592_3564_376.jpg)
경남 진주시 올해 투자유치 기본계획이 확정됐다.
진주시는 28일 시청 상황실에서 진주시투자유치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항공우주, 바이오 등 지역산업 특화와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은 ‘2022년 투자유치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
2022년 진주시 투자유치 기본계획은 투자유치 목표를 1000억 원으로 설정하고, 주요과제로 앵커기업과 잠재투자기업 투자유치, 미래산업 발굴과 육성, 투자유치 홍보 마케팅 활동 강화, 투자기업 지원방안 확대,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등이 담겼다.
특히 지역전략산업인 항공우주산업과 함께 오는 2040년 1700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UAM(도심항공교통)산업을 미래먹거리산업으로 보고 신규사업 발굴과 투자유치에 전력을 다하기로 했다.
지난해 정부는 2025년까지 UAM 상용화 계획을 발표해 대규모 실증사업을 단계별로 진행하고 있다. 진주시는 정부의 목표에 맞춰 지난해 산·학·연·관 협의체인 ‘UAM 진주’를 발족하고, 실증사업과 지역 맞춤형 사업 발굴을 위해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또 이반성면 가산일반산업단지에 설립 예정인 KAI 회전익비행센터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기관과 기업을 유치해 진주를 회전익 항공산업과 UAM산업의 중심도시로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항공우주청을 진주를 포함한 서부 경남에 유치하기 위해 대선 공약으로 제시하고 경남도, 시·군과 협력해 나가고 있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투자유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유관기관과 협력해 올해 투자유치 기본계획에 따라 목표를 꼭 달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