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취수원 이전' 등의 내용이 담긴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이 환경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심의에서 의결됐습니다.
낙동강유역위는 오늘(24일) 세종정부청사 환경부에서 회의를 열고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 대해 표결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참석 위원 29명 가운데 5명만 반대하고 나머지는 찬성해 통과됐습니다.
오늘 회의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과 경남·부산·대구·울산·경북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와 수자원 유관기관, 민간위원 등 낙동강유역위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습니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이 자리에서 '취수원 이전'을 포함하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피력했습니다.
특히 김 지사는 경남은 창원, 김해, 양산을 포함한 191만 명, 3분의 2에 달하는 도민들께서 낙동강 본류를 식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번 낙동강 물관리 방안은 경남도민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환경부에서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해 마련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는 ▲영남권 주민들의 주요 식수원인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 대책과 ▲수질오염 사고 등 비상시에도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취수원 다변화(안) ▲취수원 개발에 따른 영향지역 상생방안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한편 이날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심의 의결에 경남을 비롯한 부산·울산에서도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할 수 있어 다행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채널e뉴스 안정은입니다.
취재기자 : 안정은
영상편집 : 김다정
제보안내 : news@channel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