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자동차 산업이 반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산업 패러다임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어 미래차에 대한 대응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왔습니다.
BNK경제연구원이 오늘(2일) 발표한 '동남권 자동차 산업 동향과 발전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이 지역 자동차 시장은 대내외 수요 회복 등으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1분기 동남권 자동차 생산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5.6% 상승했고, 수출 역시 13.3% 늘어난 68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하반기에도 대외여건 개선과 현대차 호조세 등으로 동남권 자동차 산업은 양호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하지만 차량용 반도체 조달 차질, 수입차 점유율 상승세, 르노삼성차와 한국지엠 부진 등은 동남권 자동차 산업 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특히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시대로 빠르게 진입하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노르웨이를 시작으로 2030∼2040년 사이에 한국을 비롯해 영국, 네덜란드, 중국, 미국, 프랑스 등 주요국이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나 등록을 중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두 BNK경제연구원장은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동남권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며, 미래차 시장에 대한 대응속도를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채널e뉴스 안정은입니다.
취재기자 : 안정은
영상편집 : 김다정
제보안내 : news@channelenews.com